본문 바로가기

공부51

손의 근육과 관절의 상호작용, 관절의 신경지배 손의 근육, 피부, 그리고 관절의 신경지배 매우 복잡하고 협응된 손의 기능을 위해 손 영역의 근육, 피부, 그리고 관절에 대한 풍부한 운동과 감각 신경지배가 요구됩니다. 예를 들어, 바이올린 연주자에 의해 수행된 매우 정확하고 정밀한 손가락들의 움직임에 대해 고려해봅시다. 이렇게 정확하게 연주할 수 있는 이유중의 하나는 손(이를테면, 엄지)의 내재성 근육들로 가는 축삭 하나가 100개의 근섬유들을 신경지배하고 있을 정도로 작은 수를 지배합니다. 이러한 경우, 하나의 축삭은 100개의 근섬유들 모두를 동시에 활성시킬 수 있습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장딴지근의 안쪽갈래로 가는 축삭 하나는 2000개의 근섬유들을 신경지배하며, 이렇게 많은 이유는 이 근육이 미세한 움직임에 연루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축삭 하.. 2021. 10. 7.
손가락뼈사이관절의 특징 및 운동형상학에 대해 알아보자 손가락뼈사이관절 - 손가락 MCP 관절의 먼쪽에 몸쪽손가락뼈사이관절과 먼쪽손가락뼈사이관절이 있습니다. 각각의 관절들은 1도의 자유도만 허용되기 때문에 굽힘과 폄만이 일어납니다. 이 관절들의 구조와 기능적 특성으로 볼 때, MCP 관절보다 더 단순한 형태를 보입니다. 일반적인 특징과 인대 몸쪽손가락뼈사이(PIP) 관절은 몸쪽손가락뼈머리와 중간손가락뼈바닥 사이에 형성된 관절입니다. PIP 관절의 관절면은 목공품을 제작하는 데 있어 나무 판자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은촉이음과 유사하게 생겼습니다. 몸쪽손가락뼈머리에는 두 개의 둥근 관절융기들이 있으며, 이 관절융기는 얕게 파인 중심 고랑에 의해 서로 양쪽으로 나뉩니다. 몸쪽손가락뼈머리와 관절하는 중간손가락뼈의 관절면에는 중심 능선에 의해 나뉘는 두 개의 얕은.. 2021. 10. 7.
손허리손가락관절의 특징과 운동형상학 손허리손가락관절 - 손가락 일반적인 특징과 인대 손가락의 손허리손가락(MCP) 관절들은 볼록한 손허리뼈머리와 약간 오목한 몸쪽손가락뼈의 몸쪽관절면 사이에서 형성된 비교적 큰 계란형 관절입니다. MCP 관절에서의 운동은 주로 두 개의 운동면에서 일어나는데, 굽힘과 폄은 시상면 내에서 이러나고 벌림과 모음은 이마면 내에서 일어납니다. MCP 관절에서의 역학적 안정성은 전반적인 손의 생체역학에 있어 중요합니다. 초기에 언급했듯이, MCP 관절은 가동성 있는 손의 활들을 위한 쐐기돌로서 기여합니다. 건강한 손에 있어, MCP 관절에서의 안정성은 서로 연결되어 있는 인대에 의해 성취됩니다. 각 MCP 관절의 관절주머니 안에는 한 쌍의 노쪽곁인대와 자쪽곁인대 그리고 하나의 바닥판이 있습니다. 각 곁인대는 손허리뼈머.. 2021. 10.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