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51 손의 내재성 근육의 종류와 각 기능들 손의 내재성 근육 손에는 20개의 내재성 근육이 있습니다. 비교적 작은 크기에도 불구하고, 이 근육은 미세한 손가락의 조절에 있어 필수적입니다. 국소해부학적으로, 내재성 근육은 4개의 묶음으로 분류됩니다. 1. 엄지두덩의 근육 - 짧은엄지벌림근 - 짧은엄지굽힘근 - 엄지맞섬근 2. 새끼두덩의 근육 - 새끼굽힘근 - 새끼벌림근 - 새끼맞섬근 - 짧은손바닥근 3. 엄지모음근 4. 벌레근과 뼈사이근 엄지두덩의 근육 해부학적 고려사항 짧은엄지벌림근, 짧은엄지굽힘근, 그리고 엄지맞섬근은 엄지두덩의 대부분을 구성하고 있습니다. 짧은엄지굽힘근은 두 개의 갈래를 갖고 있는데, 얕은갈래는 근육의 대부분을 구성하고 있으며, 깊은갈래는 경계가 명확하지 않은 작은 섬유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흔히 엄지모음근의 빗섬유 일부로 설명.. 2021. 10. 9. 손가락의 외재성 폄근육의 종류과 기능 손가락의 외재성 폄근육 근육의 해부학 외재성 손가락 폄근육에는 손가락폄근, 집게폄근, 그리고 새끼폄근이 있습니다. 손가락폄근과 새끼폄근은 위팔뼈의 가쪽위관절융기에 있는 온힘줄에서 시작됩니다. 집게폄근은 아래팔의 등쪽 영역에 몸쪽 부축부위를 갖습니다. 가로단면적으로 볼 때, 손가락폄근은 단연 탁월한 손가락의 폄근육입니다. 손가락 폄근육으로서의 기능 외에도, 손가락폄근은 손목 폄근육으로서의 뛰어난 모멘트 팔을 갖고 있습니다. 손가락폄근과 새끼폄근을 제거하면 좀 더 깊은 쪽에 있는 집게폄근과 엄지의 외재성 근육들이 노출됩니다. 집게폄근은 집게손가락으로 가는 단 하나의 힘줄만을 갖습니다. 새끼폄근은 손가락폄근과 서로 연결된 작은 방추근육입니다. 새끼폄근은 2개의 힘줄을 갖고 있습니다. 손가락폄근, 집게폄근, 그.. 2021. 10. 8. 손에 있는 근육의 종류과 기능적인 특징 손가락 근육의 분류 손가락을 움직이는 근육들은 외재성과 내재성으로 분류됩니다. 외재성 근육은 아래팔 또는 어떤 경우에는 위팔뼈의 양쪽 위관절융기에 몸쪽 부착부위를 갖습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내재성 근육은 몸쪽과 먼쪽 부착부위가 손안에 있습니다. 손가락을 오므렸다가 펴는 것과 같은 대부분의 능동적인 손의 움직임은 손의 외재성 및 내재성 근육과 손목 근육 사이의 정밀한 상호작용을 필요로 합니다. 손가락의 외재성 굽힘근육 손가락의 외재성 굽힘근육에 대한 해부학과 관절작용 손가락의 외재성 굽힘근육에는 얕은손가락굽힘근, 깊은손가락굽힘근, 그리고 긴엄지굽힘근이 있습니다. 이러한 근육은 위팔뼈의 안쪽위관절융기와 아래팔의 영역에 광범위한 몸쪽 부착부위를 갖고 있습니다. 얕은손가락굽힘근의 근힘살은 3개의 손목 굽힘근.. 2021. 10. 8. 이전 1 2 3 4 5 6 7 8 ··· 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