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이론이야기

팔을 올림시키는 근육들, 오목위팔관절관련, 어깨가슴관절의 위쪽올림근육들

by 보무파파 2021. 9. 20.

팔을 올림시키는 근육들

팔의 "올림"이라는 용어는 정확한 운동면에 관계없이 단지 팔을 머리 위로 가져가는 능동 움직임을 말합니다. 팔의 올림은 다음과 같은 전형적인 3개의 근육무리에 의해 수행됩니다. 

(1) GH관절에서 위팔뼈를 올림 (즉, 벌림 또는 굽힘)시키는 근육들

(2) 어깨가슴관절의 위쪽돌림을 조절하는 어깨뼈의 근육들

(3) GH관절에서의 동적 안정성과 관절운동형상학을 조절하는 돌림근띠 근육들

 

 

 

 

오목위팔관절에서 팔을 올림시키는 근육들

GH관절의 벌림을 통해 팔을 올림시키는 일차적인 근육들은 앞어깨세모근, 중간어깨세모근, 그리고 가시위근입니다. 굽힘을 통한 팔의 올림은 앞어깨세모근, 부리위팔근, 그리고 위팔두갈래근의 긴갈래에 의해 수행됩니다.

 중간어깨세모근과 가시위근의 힘선은 어깨의 벌림 동안 유사합니다. 두 근육은 올림의 시작 시 활성화되고, 거의 90도의 벌림에서 최대가 됩니다. 벌림 동안, 두 근육은 아래관절주머니에 의해 형성된 기능적 오목함 내에서 위팔뼈머리를 안정화시키는데 도움이 됩니다. 

 중간어깨세모근과 가시위근은 벌림을 위한 비교적 중요한 모멘트 팔을 가지고 있는데, 그 범위는 대부분의 가동범위 내내 1~3cm까지 다양합니다.

 어깨세모근과 가시위근은 GH관절에서의 전체 벌림 토크에 있어 대략 똑같은 양으로 기여합니다. 어깨세모근이 마비되었을 때, 벌림의 토크가 감소되기는 하지만 일반적으로 가시위근에 의해 GH관절을 완전히 벌림시킬 수 있습니다. 가시위근의 마비나 힘줄의 파열이 있을 때에는, GH관절에서의 관절운동형상학이 변경되어 완전한 벌림이 어렵거나 불가능해집니다. 어깨세모근과 가시위근이 둘 다 마비되었을 때에는 완전한 능동 벌림이 불가능해집니다.

 연구를 통해 가시아래근과 어깨밑근의 가장 위쪽의 섬유들은 GH관절을 벌림시킬 수 있는 제한된 모멘트 팔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이런 근육들의 위쪽 섬유들이 관절의 앞, 뒤쪽 돌림축의 약간 위쪽을 지나가기 때문에 일어납니다. 이러하나 근육들이 단지 이차적인 벌림근육들로 고려되기는 하지만, 동적인 안정화를 확립하고 관절의 관절운동형상학을 유지하는 데 있어 일차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어깨가슴관절의 위쪽돌림근육들

어깨뼈의 위쪽돌림은 팔의 올림에 있어 필수적인 구성성분입니다. 일차적인 위쪽돌림근육들에는 앞톱니근 및 위등세모근과 아래등세모근이 있습니다. 이러한 근육들은 어깨뼈의 위쪽돌림에 있어 똑같이 중요하게 기여하며 어깨세모근과 돌림근띠 근육들과 같은 먼쪽 가동자들을 위한 안정된 부착부위를 제공하기 위해 몸쪽 안정자의 역할도 수행합니다. 그 외에도, 앞톱니근은 어깨뼈를 뒤기울임시킬 수 있으며 적은 양이지만 가쪽돌림에도 기여합니다. 앞톱니근 아래섬유들의 힘선은 어깨뼈의 아래각을 앞쪽으로 당깁니다. 이론적이기는 하지만, 다른 힘들과 함께 작용한 이러한 아래각의 앞쪽 당김은 어깨뼈의 관절오목을 뒤기울임시킵니다. 또한, 앞톱니근은 AC관절의 수직축의 안쪽을 지나가는 힘선을 발생시킴에 따라 어깨뼈에 대한 가쪽돌림 토크를 만들어냅니다. 이런 가쪽돌림 토크는 가슴에 대해 어깨뼈의 안쪽모서리를 견고하게 고정하는데 도움이 되기도 합니다. 완전히 이해되고 있지는 않지만, 앞서 언급한 앞톱니근의 2가지 이차적 작용들은 어깨뼈의 전반적 위쪽돌림 운동형상학에 있어 중요한 성분이 됩니다. 

 

 

 

 

팔의 올림 동안 돌림근띠 근육들의 기능

돌림근띠 근육들에는 어깨밑근, 가시위근, 가시아래근, 그리고 작은원근이 있습니다. 이 근육들은 팔을 머리 위로 들어 올릴 때 뚜렷한 EMG 활동을 보이게 됩니다. EMG 활동은 동적인 관절 안정성에 대한 조정자이자 관절운동형상학의 조절자로서의 근육 기능을 반영합니다.

오목위팔관절에서의 동적인 안정성을 위한 조정자의 역할

위팔뼈머리와 관절오목 사이의 느슨한 결합에 의해 GH관절은 큰 가동범위를 갖게 됩니다. 따라서, 관절주머니 주변에는 운동을 제한할 수 있는 굵은 제한성 인대들이 없어야 합니다. 오목위팔관절의 해부학적 구조는 안정성보다 운동성에 유리합니다. 어깨를 지나가는 대부분의 근육들이 GH관절에 동적인 안정성을 제공하기는 하지만, 돌림근띠 근육들이 이러한 능력에 있어서는 탁월합니다. 돌림근띠 근육들의 중요한 구조적 특징은 GH관절의 자연스런 느슨함과 불안정성의 경향을 보상하는 것입니다. 돌림근띠 근육들의 먼쪽 부착부위는 몸쪽 위팔뼈에 부착되기 전에 GH관절주머니와 섞입니다. 이러한 해부학적 배열에 의해 관절 주위에 대한 보호적 덮개의 역할을 제공해주며, 신경계통에 의해 활성화되면 매우 단단하게 됩니다. 인체의 다른 어떤 관절들을 보더라도 그렇게 많은 근육이 관절의 주변구조로써 기여하고 있는 곳은 없습니다. 

 

 

 

 

 가쪽돌림 동안 가시아래근에 의한 동적인 안정화는 모든 돌림근띠 근육에 있어 필수적인 기능입니다. 돌림근띠에 의해 생산된 힘은 위팔뼈를 능동적으로 돌림운동하게 할 뿐만 아니라, 관절오목에 대한 위팔뼈머리의 안정화와 중심화에도 기여하게 됩니다. 따라서, GH관절에서의 동적인 안정성을 위해서는 정상적인 신경근육계통과 근육뼈대계통을 필요로 합니다. 이러한 두 계통들은 GH관절의 관절주위 결합조직 내에 위치한 고유감각 수용기들을 통해 기능적으로 통합됩니다. 반사고리의 일부로써, 신경지배되고 있는 이러한 결합조직들은 빠르고 중요한 정보에 참여하고 있는 근육들에게 제공할 것입니다. 이러한 되먹임은 필요한 동적인 안정성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거의 무의식 상태에서조차도 관절운동형상학을 조절하는 근육의 능력을 강화시킬 수 있습니다. 기능적 운동을 통한 이러한 고유감각 기전에 대한 자극은 어깨 불안정성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을 위한 재활 프로그램에 있어 필수 성분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