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의 내재성 근육
손에는 20개의 내재성 근육이 있습니다. 비교적 작은 크기에도 불구하고, 이 근육은 미세한 손가락의 조절에 있어 필수적입니다. 국소해부학적으로, 내재성 근육은 4개의 묶음으로 분류됩니다.
1. 엄지두덩의 근육
- 짧은엄지벌림근
- 짧은엄지굽힘근
- 엄지맞섬근
2. 새끼두덩의 근육
- 새끼굽힘근
- 새끼벌림근
- 새끼맞섬근
- 짧은손바닥근
3. 엄지모음근
4. 벌레근과 뼈사이근
엄지두덩의 근육
해부학적 고려사항
짧은엄지벌림근, 짧은엄지굽힘근, 그리고 엄지맞섬근은 엄지두덩의 대부분을 구성하고 있습니다. 짧은엄지굽힘근은 두 개의 갈래를 갖고 있는데, 얕은갈래는 근육의 대부분을 구성하고 있으며, 깊은갈래는 경계가 명확하지 않은 작은 섬유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흔히 엄지모음근의 빗섬유 일부로 설명되기도 합니다. 짧은엄지벌림근의 깊은 쪽에 엄지맞섬근이 있습니다. 3개의 모든 엄지두덩 근육은 가로손목인대와 인접 손목뼈에 몸쪽 부착부위를 갖습니다. 짧은엄지벌림근과 짧은엄지굽힘근 둘 다는 몸쪽손가락뼈바닥의 노쪽면에 먼쪽 부착부위를 갖습니다. 그 외에도, 짧은엄지벌림근은 엄지에 있는 폄근육기전의 노쪽면에 부착하고, 짧은엄지굽힘근은 종종 종자뼈에도 부착합니다. 좀 더 깊은 쪽에 있는 엄지맞섬근은 엄지 손허리뼈의 노쪽 모서리 전체에 먼쪽 부착부위를 갖습니다.
기능적 고려사항
엄지두덩 근육의 일차적 기능은 잡기 동작을 촉진하기 위해 다양한 양의 맞섬 상태로 엄지를 위치시키는 것입니다. 초기에 언급했듯이, 맞섬은 CMC 관절에서 일어나는 벌림, 굽힘, 그리고 안쪽돌림 요소들이 결합하여 일어난 것입니다. 엄지두덩 내에 있는 각각의 근육은 맞섬의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에 대해서는 작용근으로 작용하고, 작용근으로 작용하는 동작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보조근으로 작용합니다.
엄지두덩 근육의 작용들은 특정 돌림축에 대한 각 근육의 힘선에 의해 결정됩니다. 엄지맞섬근은 엄지를 손가락 쪽으로 안쪽돌림시키는 힘선을 갖고 있습니다. 엄지맞섬근은 손허리뼈에 먼쪽 부착부위를 갖기 때문에, 이 근육의 전체 수축력은 CMC 관절을 조절하는 데 전념합니다.
정중신경 손상의 영향
정중신경의 절단은 3개의 모든 엄지두덩 근육들인 엄지맞섬근, 짧은엄지굽힘근, 그리고 짧은엄지벌림근을 마비시킵니다. 결과적으로, 엄지의 맞섬은 사실상 장애가 발생됩니다. 또한, 손의 엄지두덩 영역은 근육의 위축에 의해 편평해집니다. 엄지와 노쪽 손가락 끝의 마비와 함께 발생하는 맞섬의 기능적 상실은 정밀한 잡기와 손의 다른 조작 기능이 크게 감소됩니다.
엄지맞섬근의 중요한 안쪽돌림의 기능 외에도, 3개의 모든 엄지두덩의 근육은 CMC 관절의 굽힘과 벌림의 결합된 작용을 독립적으로 수행합니다. 이러한 운동형상학은 맞섬 동안 엄지를 손바닥 위쪽으로 들어 올리는 데 필수적입니다. 거의 모든 근육은 굽힘-벌림, 굽힘-모음, 폄-모음, 또는 폄-벌림과 같은 결합 동작을 가지고 있습니다. 지적하고 있듯이, 정중신경은 굽힘-벌림 사분면 근육들의 유일한 신경지배를 담당하고 신경입니다. 엄지의 벌림이 노신경에 의해 지배되고 있는 긴엄지벌림근 때문에 여전히 가능할지라도, 이러한 작용은 대개 자신경에 의해 지배되고 있는 엄지모음근의 강력한 모음 토크 때문에 배제됩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정중신경 손상을 가진 사람들은 엄지 CMC 관절의 모음 구축을 당하기 쉽습니다. 초기에 언급했듯이, 모음쪽으로 치우친 엄지는 맞섬의 자연스런 운동형상학에 역효과적입니다.
새끼두덩의 근육
해부학적 고려사항
새끼두덩의 근육들에는 새끼굽힘근, 새끼벌림근, 새끼맞섬근, 그리고 짧은손바닥근이 있습니다. 새끼벌림근은 이들 근육 중 가장 얕은 쪽과 안쪽에 있으며, 손의 가장 자쪽모서리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비교적 작은 근육인 새끼굽힘근은 새끼벌림근의 바로 가쪽에 있으며, 흔히 새끼벌림근과 뒤섞여 있기도 합니다. 이들 근육 중 가장 깊은 쪽에 있는 새끼맞섬근은 새끼두덩에 있는 근육들 중 가장 큽니다. 짧은손바닥근은 우표 한 장의 두께 정도 밖에 되지 않는 가늘고 비교적 덜 중요한 근육입니다. 짧은손바닥근은 콩알뼈의 바로 먼쪽에 있는 피부 영역과 가로손목인대 사이에 부착합니다. 짧은손바닥근은 새끼두덩의 높이를 상승시킴으로써, 손바닥의 오목함을 깊게 해주는 데 보조합니다.
전반적인 새끼두덩근육의 해부학적 사항은 엄지두덩근육의 것과 유사합니다. 새끼굽힘근과 새끼맞섬근은 가로손목인대와 갈고리뼈갈고리에 몸쪽 부착부위를 갖습니다. 새끼벌림근은 콩알갈고리인대, 콩알뼈, 그리고 자쪽손목굽힘근힘줄에 넓은 몸쪽 부착부위를 갖고 있습니다. 새끼손가락의 저항에 대한 벌림이나 빠른 벌림 동안, 자쪽손목굽힘근은 새끼벌림근을 위한 부착부위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수축합니다. 이러한 효과는 콩알뼈의 바로 몸쪽에서 자쪽손목굽힘근의 힘줄을 촉지함으로써 확인될 수 있습니다.
새끼벌림근과 새끼 굽힘근은 새끼손가락에 있는 몸쪽손가락뼈 바닥의 안쪽모서리에 몸쪽 부착부위를 갖습니다. 새끼벌림근에서 나온 어떤 섬유들은 폄근육기전의 자쪽면과 섞이기도 합니다. 새끼맞섬근은 MCP 관절의 몸쪽인 첫째 손허리뼈의 자쪽모서리를 따라 먼쪽 부착부위를 갖습니다.
'공부 > 이론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가락의 외재성 근육과 내재성 근육의 상호작용 (0) | 2021.10.10 |
---|---|
벌레근과 뼈사이근의 특징과 기능 (0) | 2021.10.09 |
손가락의 외재성 폄근육의 종류과 기능 (0) | 2021.10.08 |
손에 있는 근육의 종류과 기능적인 특징 (0) | 2021.10.08 |
손의 근육과 관절의 상호작용, 관절의 신경지배 (0) | 2021.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