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이론이야기

손목운동에 대한 운동형상학에 대해서

by 보무파파 2021. 9. 29.

뼈운동형상학

손목의 뼈운동형상학은 2도의 자유도로 정의되며, 굽힘-폄 그리고 자쪽치우침-노쪽치우침을 수행합니다. 손목에 의해 만들어지는 완전한 원형의 운동인 휘돌림은 3도의 자유도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앞서 말한 손목 움직임의 결합으로 만들어지는 운동입니다.

 손목의 자연스런 대부분의 동적 움직임들은 이마면과 시상면의 성분들이 결합되어 나타납니다. 즉, 폄은 노쪽치우침과 같이 일어나는 경향이 있으며, 굽힘은 노쪽치우침과 같이 일어나는 경향이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이런 손목에서의 자연스런 운동 경로는 다트를 던지는 동작과 유사하게 약간 사선의 경로를 따르게 됩니다. 이런 자연스런 움직임들의 결합은 구두끈 매기나 빗질하기와 같은 다른 기능들과 함께 일어납니다. 이런 자연스런 운동형상학은 손상 후 손목의 재활동안 고려되어져야 합니다.

 

 

 

 

 손목 움직임들을 위한 돌림축은 알머리뼈머리를 통과해 지나간다고 보고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굽힘과 폄을 위한 돌림축은 거의 안-가쪽 방향으로 지나가고 노쪽치우침과 자쪽치우침을 위한 돌림축은 거의 앞-뒤쪽 방향으로 지나갑니다. 축들이 고정된 것으로 묘사되지만, 사실 축들은 전체 가동범위 내내 약간의 이동을 하게 됩니다. 알머리뼈와 셋째손허리뼈바닥 사이의 견고한 관절은 손의 운동형상학적 경로 쪽으로 알머리뼈의 돌림운동을 유발합니다.

 손목은 시상면 내에서 약 130도에서 160도 정도 돌림운동할 수 있습니다. 평균적으로, 손목은 0도에서 약 70~85도까지 굽힘하고 0도에서 약 60~75도까지 폄합니다. 다른 가동관절과 같이, 손목의 가동범위는 나이와 건강상태 그리고 운동이 수동적인지 아니면 능동적인지에 따라 다양해질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굽힘은 폄보다 약 10에서 15도 정도 더 일어납니다. 폄의 끝 범위는 굵은 바닥쪽노손목인대들에서의 뻣뻣함 때문에 자연스럽게 제한됩니다. 먼쪽노뼈의 바닥쪽기울임이 평균보다 더 큰 사람들은 폄의 범위가 더 제한됩니다.

 손목은 이마면 내에서 약 50에서 60도 정도 돌림운동할 수 있습니다. 손목의 노쪽치우침과 자쪽치우침은 노뼈와 셋째 손허리뼈몸통이 이루는 각도로 측정됩니다. 손목 자쪽치우침은 0도에서 약 35~40도까지 일어납니다. 노쪽치우침은 0도에서 약 15~20도까지 일어납니다. 일차적으로 먼쪽노뼈의 자쪽기울임 때문에, 최대 자쪽치우침은 노쪽치우침의 최대 양의 두 배가 됩니다. 

 

 

 

 

 Ryu와 그의 동료들은 24가지의 일상생활동작들(ADLs)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손목의 운동범위를 결정하기 위해 2축성 전자관절각도계를 사용하여 40명의 건강한 대상자들을 검사하였습니다. ADLs에는 개인적인 돌봄, 위생, 음식 준비, 쓰기, 그리고 다양한 도구나 가정용품 사용하기가 포함됩니다. 연구자들은 이러한 ADLs는 40도의 굽힘, 40도의 폄, 10도의 노쪽치우침, 그리고 30도의 자쪽치우침을 사용하여 편안하게 수행할 수 있다고 결론지었습니다. 이러한 기능적 범위는 최대 손목 가동범위의 50~80%에 해당됩니다.

 심각한 통증성 또는 불안정성 손목에 대한 의학적 관리는 수술적 융합이 요구됩니다. 이런 수술법에 따른 기능적 장애를 최소화하기 위해, 약 10~15도의 폄과 10도의 자쪽치우침인 "평균적인" 기능적 위치에서 흔히 융합됩니다. 손목의 영구적인 융합이 극단적인 선택인 겻처럼 보이지만, 이러한 절차가 안정성과 통증을 줄일 수 있는 유일한 치료가 될 것입니다.

 

 

 

 

관절운동형상학

많은 다른 방법론이 손목의 운동형상학을 연구하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연구들에는 생체외 기법 그리고 좀 더 최근에는 생체내 기법들이 사용됩니다. 이러한 기법들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포함됩니다.

- 방사선촬영술 / - 영화방사선촬영술

- 해부학적 절단 / - 뼈에 대한 핀의 배치

- 3차원 컴퓨터 영상 / - 초음파 디지털화

- 방사선/입체사진술 / - 광전자시스템

- 전자기 추적장치 / -3D 전산화단층촬영법

- 전기역학적 연동시스템

 이런 복잡한 기법들을 사용할지라도, 손목의 운동형상학을 설명하는 자료들은 일치되지 않습니다. 운동형상학을 정확하고 반복 재현이 가능하게 설명하려는 노력은 해부학과 움직임의 복잡성(8개의 작은 뼈들에서 나타나는 여러 운동면에서의 돌림운동들과 병진운동들) 그리고 타고난 인간의 다양성에 의해 많은 방해를 받아 왔습니다. 지난 20년 동안 많은 것이 알려지긴 했지만, 손목뼈 운동형상학의 연구는 계속해서 진화하고 있습니다.

 아마도 가장 기본적이고 수긍할 만한 손목 운동형상학의 전제는 손목이 노속목관절과 손목뼈중간관절에서 동시에 움직임이 일어나는 이중관절시스템이라는 것입니다. 관절운동형상학에 대한 다음의 논의는 이런 두 관절들 사이에서의 동적인 관계에 집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