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47

팔꿈치의 위팔두갈래근과 엎침근육의 종류 위팔두갈래근 위팔두갈래근은 아래팔의 강력한 뒤침근육입니다. 두갈래근의 생리학적 가로단면적은 뒤침근의 약 3배입니다. 뒤침근육으로서 두갈래근의 주요한 역할은 특히 90도 굽힘상태에서 빠르고 강력한 엎침에서 뒤침으로의 운동 동안 두갈래근을 촉지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팔의 엎침되었을 때, 두갈래근의 힘줄은 몸쪽노뼈의 주위를 감쌉니다. 완전히 엎침된 위치에서, 두갈래근이 능동적으로 수축하게 되면 노뼈는 빠르게 뒤침으로 "스핀"하게 됩니다. 아래팔 뒤침근육으로서의 두갈래근의 효율성은 팔꿈치가 약 90도 정도 굽힘되었을 때 가장 큽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높은 파워를 요구하는 뒤침의 과제 수행 시 팔꿈치는 자연스럽게 90도 굽힘된 위치를 유지하게 됩니다. 팔꿈치의 각도가 90도 일 때, 노뼈에 부착하.. 2021. 9. 25.
팔꿈치의 뒤침근육의 종류와 기능 뒤침근육과 엎침근육들의 기능 엎침근육과 뒤침근육으로써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2가지의 기본적 특징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첫째, 근육은 돌림축의 양 옆쪽에 부착되어야 합니다. 즉, 위팔뼈나 자뼈에 몸쪽 부착부위를 갖고 있어야 하며 노뼈나 손에 먼쪽 부착부위가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위팔근이나 짦은엄지폄근과 같은 근육들은 다른 어떤 생체역학적 변수에도 불구하고 아래팔을 엎침시키거나 뒤침 시킬 수 없습니다. 둘째, 근육은 엎침과 뒤침을 위한 돌림축 주위에서 내적인 모멘트 팔을 가지면서 작용하는 힘을 생산해야 합니다. 근육의 힘선이 돌림축에 수직이면 모멘트 팔은 가장 큽니다. 엎침근육과 뒤침근육이 이러한 이상적인 힘선을 갖지는 않지만(적어도 해부학적 위치에서 고려될 때), 네모엎침근이 가장 근접한 힘선을.. 2021. 9. 25.
팔꿈치와 아래팔의 관절과 신경, 근육 기능 팔꿈치와 아래팔의 근육들과 관절들에 대한 신경지배 근육, 피부, 그리고 관절의 특정 신경지배에 대한 지식은 말초신경이나 신경뿌리에 손상을 당한 사람들의 치료에 있어 유용한 임상적 정보가 됩니다. 이를 숙지하고 있는 임상가는 급성 손상에 연루되는 감각과 운동의 범위뿐만 아니라 합병증도 예측할 수 있습니다. 부목 적용, 선택적인 근력강화운동, 가동범위운동, 그리고 환자 교육과 같은 치료적 활동들은 손상 후 금기증이 없다면 초기에 시작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순향적 접근법은 무감각한 피부와 관절에 대한 점진적인 손상과 영구적인 변형의 잠재성을 최소화시키기 때문에, 기능제한을 최소화시킬 수 있습니다. 근육의 신경지배 팔꿈치 굽힘근육들은 세 가지의 다른 말초신경에 의해 신경지배를 받게 되는데, 위팔두갈래근과 위팔.. 2021. 9.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