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31 손가락의 외재성 근육과 내재성 근육의 상호작용 손가락의 외-내재성 근육의 상호작용 손가락의 내재성 근육(벌레근과 뼈사이근)의 동시 수축은 MCP 관절 굽힘과 IP 관절 폄의 결합 동작을 만들어 냅니다. 이러한 손의 위치를 내재성-플러스 위치라 합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손가락의 외재성 근육(손가락폄근, 얕은손가락굽힘근, 그리고 깊은손가락굽힘근)의 수축은 MCP 관절의 과다폄과 IP 관절의 굽힘을 만들어 내고, 이러한 손의 위치를 외재성-플러스 위치라 합니다. 가장 중요한 손의 운동학적 원리는 가장 기능적이거나 복잡한 손가락의 움직임이 이런 2가지의 상반된 작용의 협력적 혼합에 의해 사용된다는 것입니다. 손의 외재성 근육과 내재성 근육 사이의 상호작용은 무수히 많은 기능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움직임의 결합들을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다음에 .. 2021. 10. 10. 벌레근과 뼈사이근의 특징과 기능 벌레근 벌레근은 깊은손가락굽힘근의 힘줄로부터 시작되는 매우 가는 4개의 근육입니다. 깊은손가락굽힘근과 같이, 벌레근 또한 이중의 신경지배를 받는데, 2개의 가쪽벌레근은 정중신경의 지배를 받고, 2개의 안쪽벌레근은 자신경의 지배를 받습니다. 4개의 모든 벌레근은 그 크기와 부착부위에 있어 현저한 해부학적 편차를 보입니다. 벌레근의 몸쪽 부착부위 힘줄에서 출발하여 깊은손허리뼈사이인대의 바닥쪽을 주행한 후, MCP 관절의 노쪽으로 갑니다. 전형적인 벌레근의 먼쪽 부착부위는 대부분 등쪽덮개의 빗섬유들을 통한 폄근육기전의 가쪽띠입니다. 이러한 먼쪽 부착부위는 벌레근이 폄근육기전을 통해 몸쪽 당김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벌레근들의 기능은 여러 해 동안 연구의 주제가 되었습니다.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 2021. 10. 9. 손의 내재성 근육의 종류와 각 기능들 손의 내재성 근육 손에는 20개의 내재성 근육이 있습니다. 비교적 작은 크기에도 불구하고, 이 근육은 미세한 손가락의 조절에 있어 필수적입니다. 국소해부학적으로, 내재성 근육은 4개의 묶음으로 분류됩니다. 1. 엄지두덩의 근육 - 짧은엄지벌림근 - 짧은엄지굽힘근 - 엄지맞섬근 2. 새끼두덩의 근육 - 새끼굽힘근 - 새끼벌림근 - 새끼맞섬근 - 짧은손바닥근 3. 엄지모음근 4. 벌레근과 뼈사이근 엄지두덩의 근육 해부학적 고려사항 짧은엄지벌림근, 짧은엄지굽힘근, 그리고 엄지맞섬근은 엄지두덩의 대부분을 구성하고 있습니다. 짧은엄지굽힘근은 두 개의 갈래를 갖고 있는데, 얕은갈래는 근육의 대부분을 구성하고 있으며, 깊은갈래는 경계가 명확하지 않은 작은 섬유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흔히 엄지모음근의 빗섬유 일부로 설명.. 2021. 10. 9. 이전 1 ··· 128 129 130 131 132 133 134 ··· 1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