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32 류마티스관절염에 의해 유발된 변형 - 자쪽이동, 손가락의 지그재그 변형 자쪽이동 MCP 관절에서의 자쪽 "이동"변형은 몸쪽손가락뼈의 과도한 자쪽치우침과 자쪽병진운동(미끄러짐)에 의해 발생합니다. 이러한 변형은 진행된 류마티스관절염에서는 흔하며 MCP 관절의 바닥쪽탈구와 동반되어 흔히 일어납니다. 자쪽이동의 병리역학을 완전히 이해하기 위해, 건강하든 그렇지 않든 간에 모든 손은 자쪽치우침된 손가락의 자세를 취하게 되는 인자들에 항상 노출되어 있다는 것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이러한 인자들로는 중력, 손허리뼈머리의 비대칭적 경사면, 그리고 MCP 관절을 지나가는 외재성 굽힘근육힘줄의 자쪽(앞쪽) 당김선이 있습니다. 그러나 가장 영향력 있는 인자는 노쪽손가락의 몸쪽손가락뼈에 적용된 자쪽 방향으로의 힘으로부터 발생합니다. 이러한 힘은 손으로 물건을 잡을 때의 접촉력과 엄지의 굽힘근.. 2021. 10. 12. 류마티스관절염에 의해 전형적으로 유발된 관절의 변형 류마티스관절염에 의해 유발된 관절의 변형 류마티스관절염에 의한 파괴적인 측면 중의 하나가 만성 윤활막염입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윤활막염은 관절주위 결합조직의 장력을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조직들에 의해 제공되는 정상적인 억제가 없다면, 환경과의 접촉으로 발생한 힘 또는 좀 더 확실한 근수축으로부터의 힘은 결국 관절의 역학적 완전성을 파괴할 수 있습니다. 관절은 정렬불량, 불안정성, 그리고 영구적인 변형이 초래될 수 있습니다. 류마티스관절염과 관계된 손의 변형에 대한 병리역학의 지식은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 꼭 필요합니다. 이러한 사항은 손의 변형을 위한 많은 전통적인 치료가 문제의 역학적 원인이 되고 있기 때문에 더욱 중요합니다. 엄지의 지그재그변형 진행된 류마티스관절염은 엄지의 지그재그.. 2021. 10. 11. 효과기로서의 손, 손의 기능 효과기로서의 손 손은 지지, 조작, 그리고 쥐기를 위한 팔의 효과기로서 기능합니다. 지지의 기능으로서 손은 물건을 고정하거나 받치고 있기 위해 일반적인 방법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이때 좀 더 특정한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다른 손은 자유로운 상태로 있게 됩니다. 피곤해서 손으로 머리를 지지하거나 앉은 자세에서 손을 이용하여 일어날 때와 같이, 손은 힘을 전달하거나 수용하기 위한 단순한 지지대로서 사용되기도 합니다. 아마도 가장 다양한 손의 기능은 물체들을 조작하는 능력일 것입니다. 매우 일반적으로 손은 2가지의 기본적 방법으로 물체를 조작합니다. 손가락의 운동들은 타이핑이나 긁기와 같이 반복적이고 퉁명스러운 방법을 이용하거나, 이와는 대조적으로 글쓰기나 바느질과 같이 운동의 강도나 속도가 조절되는 연속적.. 2021. 10. 11. 이전 1 ··· 127 128 129 130 131 132 133 ··· 1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