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이론이야기47

팔꿈치의 관절들 - 일반적인 특징, 관절주위 결합조직 팔꿈치의 관절들 위팔자관절과 위팔노관절의 일반적인 특징들 팔꿈치는 위팔자관절과 위팔노관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위팔자관절에서의 도르래와 도르래패임 사이의 꼭 끼는 결합은 팔꿈치의 구조적 안정성에 기여합니다. 초기의 해부학자들은 단일평면에서의 운동인 굽힘과 폄이 우세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팔꿈치를 경첩관절로 분류하였습니다. 그러나 굽힘과 폄을 수행할 때 노뼈에서 작은 양의 축돌림과 조우로의 운동이 일어나기 때문에, 수정된 경첩관절이란 용어가 좀 더 적절할 것입니다. 공학자들은 팔꿈치 의지를 제작하는데 있어 이러한 "시상며의 범위 밖에서" 일어나는 작은 양의 부가적인 운동 또한 고려하여야 할 것입니다. 이런 세심한 고려가 없다면, 의지는 느슨하게 제작될 것입니다. 팔꿈치의 정상적인 "밖굽이각" 팔꿈치의 굽힘과.. 2021. 9. 21.
팔꿈치와 아래팔관련 뼈 이야기 (자뼈, 노뼈) 팔꿈치와 아래팔 팔꿈치와 아래팔 복합체는 3개의 뼈와 4개의 관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위팔자관절과 위팔노관절은 팔꿈치를 구성합니다. 팔꿈치에서의 굽힘과 폄운동은 팔의 기능적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공됩니다. 이러한 기전은 음식먹기, 손뻗기, 던지기 그리고 개인위생과 같은 중요한 많은 동작을 위해 사용됩니다. 노뼈와 자뼈는 아래팔 내에서 서로 관절하여 몸쪽노자관절과 먼쪽노자관절을 형성합니다. 이런 일련의 관절들은 어깨에서의 운동 없이 손바닥을 위로 향하게(뒤침) 하거나 아래로 향하게(엎침) 합니다. 뒤침과 엎침은 팔꿈치에서의 굽힘과 폄을 동반하거나 동반 없이 수행할 수 있습니다. 팔꿈치와 아래팔 관절들 사이의 상호작용은 효율적인 손의 배치범위를 크게 증가시킵니다. 골학 중간에서 먼쪽까지의 위팔뼈.. 2021. 9. 21.
팔을 올림시키는 근육들, 오목위팔관절관련, 어깨가슴관절의 위쪽올림근육들 팔을 올림시키는 근육들 팔의 "올림"이라는 용어는 정확한 운동면에 관계없이 단지 팔을 머리 위로 가져가는 능동 움직임을 말합니다. 팔의 올림은 다음과 같은 전형적인 3개의 근육무리에 의해 수행됩니다. (1) GH관절에서 위팔뼈를 올림 (즉, 벌림 또는 굽힘)시키는 근육들 (2) 어깨가슴관절의 위쪽돌림을 조절하는 어깨뼈의 근육들 (3) GH관절에서의 동적 안정성과 관절운동형상학을 조절하는 돌림근띠 근육들 오목위팔관절에서 팔을 올림시키는 근육들 GH관절의 벌림을 통해 팔을 올림시키는 일차적인 근육들은 앞어깨세모근, 중간어깨세모근, 그리고 가시위근입니다. 굽힘을 통한 팔의 올림은 앞어깨세모근, 부리위팔근, 그리고 위팔두갈래근의 긴갈래에 의해 수행됩니다. 중간어깨세모근과 가시위근의 힘선은 어깨의 벌림 동안 유사.. 2021. 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