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이야기/생활꿀팁

설날 차례 지방 쓰는 방법 간단 정리

by 보무파파 2022. 2. 1.

설 명절을 맞아서 당일 아침에 차례를 지내는 집들이 많이 있습니다. 이럴 때 가장 중요한 부분 중 한 부분이 조상에 대해 작성하는 지방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차례상 음식들 놓는 방법이 매번 헷갈리는 것처럼 지방 쓰는 법에 대해서도 많이들 헷갈려하는 분들이 많은데요. 지방 쓰는 법에 대해서 정리해보았습니다.

 

 

'지방' 이란?

지방이란 제사를 모시는 대상자를 상징하는 것입니다. 종이로 만든 신주를 이야기 하는데요.

 

지방의 너비는 6cm, 길이는 22cm 정도가 적당하며 주로 한지(백지)를 사용합니다. 하지만 한지가 없을 경우에는 깨끗한 창호지나 백지로 사용해도 무방합니다.

지방 쓰는 방법

지방 작성 방법

지방은 제사를 모시는 사람과 고인의 관계에 따라 작성방법이 다른데요. 지방은 붓을 이용해서 세로로 적습니다. 고인과 제사를 모시는 사람의 관계, 고인의 작위, 고인의 이름, 고인의 자리(신위)의 순서로 적습니다.

 

부모님 두 분이 모두 돌아가셨을 경우에 한 지방에 같이 쓰면 되는데요. 아버지는 왼쪽, 어머니는 오른쪽에 적습니다.

한 분만 계실 경우에는 한 분만 쓰면 됩니다.

 

조상의 경우에도 지방에 쓸 조상이 두 분 이상이라면 왼쪽에 남자 조상을 쓰고 오른쪽에 여자 조상을 쓰면 됩니다. 만약 여자 조상이 두 분 이상이라면 남자 조상의 오른쪽에서부터 이어서 적습니다.

 

고인이 제주의 아버지라면 '考(고)'. 어머니는 '妣(비)', 조부는 '顯祖考(현조고)', 조모는 '顯祖妣(현조비)', 증조부는 '顯曾祖考(현 증조고)', 증조모는 '顯曾祖妣(현 증조비), 고조부는 '顯高祖考(현고 조고)' 고조모는 '顯高祖妣(현고 조비)'라 씁니다.

 

 

또 고인이 제주의 남편일 경우에는 임금 '辟(벽)'을 넣어 '顯辟學生府君神位(현벽 학생부군신위)'라 적습니다. 남편은 존경의 의미인 '顯(현)'과 남편을 뜻하는 '辟(벽)'을 적어 '顯辟(현벽)'이라고 쓰면 됩니다.

 

아내의 경우는 죽은 사람을 뜻하는 '故(고)와 아내를 의미하는 '室(실)'을 넣어 '故室孺人(고실 유인) + 본관 + 성씨 + 神位(신위)'라고 적으면 됩니다.

 

이어서 고인의 직위를 적을 때는 고인이 남성이라면 '學生(학생)', 여성은 '孺人(유인)'으로 적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고인의 이름을 적을 때는 남자 조상은 모두 '府君(부군)'이라 쓰고 여자 조상은 본관과 성씨를 쓰며 동생이나 자식의 경우에는 이름을 쓰면 됩니다.

 

그리고 지방의 마지막 부분은 '神位(신위)'를 적으면 끝입니다.

 

코로나가 많이 퍼지게 되면서 차례를 지내는 집도 예전보다는 많이 줄어든 걸로 알고 있는데, 그래도 차례를 지낸다면 조상을 기리기 위한 지방은 제대로 써서 조상을 맞이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