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이야기196

기간제 근로·단기알바 후 실업급여 신청, 받을 수 있는 조건은? 실업급여를 막상 신청하려고 하면 받을 수 있는 조건인지 헷갈리는 경우가 많이 생깁니다. 기간제로 근무 후 계약만료로 퇴사하고, 그 이후 단기알바를 경험한 뒤 다시 기간제 근로로 더 근무 후(처음 퇴사에서 1년 이내) 계약만료로 퇴사한 경우, 실업급여 신청이 가능한지 궁금해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 외에도 다양한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 조건 금액 등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1. 실업급여 신청 조건최근 이직일 기준 18개월 이내 고용보험 가입 기간이 180일(6개월) 이상이어야 합니다.계약만료, 즉 비자발적 퇴사여야 실업급여 신청이 가능합니다.단기알바(생동성 등)는 보통 고용보험 미가입이므로 실업급여 산정에 포함되지 않습니다.중간에 알바로 고용보험 이력이 단절되지 .. 2025. 6. 26.
행복주택 청약 실패, 놓치기 쉬운 7가지 탈락 이유 파헤치기 행복주택 청약 신청 해본 경험 있으신가요? 소득 기준 등 여러가지 기준에 맞춰서 신청해야 하기 때문에 쉽지 않을 순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2025년에도 많은 청년과 사회초년생이 행복주택 청약에 도전하지만, 그중 상당수가 탈락의 고배를 마십니다. 이번 글에서는 행복주택 청약에서 흔히 발생하는 탈락 이유를 분석하고, 청약 실패를 하지 않기 위한 체크리스트도 함께 정리해보았습니다. 1. 2025년 행복주택 신청기준 변경 요약소득 기준: 기준 중위소득 상승으로 상한선 조정됨1인가구 기준 중위소득 100%: 2,870,416원2인가구 기준 중위소득 100%: 4,719,190원자산 기준: 총자산 3억 3,700만 원 이하로 유지자동차 기준: 3,803만 원 이하로 소폭 상향✅ 기준이 상향되었지만, 실제 소득·.. 2025. 6. 25.
2025년 행복주택 사회초년생 소득 기준 완벽 정리! 처음 사회에 진출한 사회초년생이라면, 높은 전세값과 월세 부담 때문에 주거 걱정이 클 수밖에 없습니다. 정부는 이런 주거 불안정을 해소하고자 사회초년생을 위한 행복주택을 시세보다 저렴하게 공급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요소가 바로 소득 기준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행복주택 소득 기준을 사회초년생 초점에 맞춰서 정리해보았습니다. 1. 행복주택이란?행복주택은 대학생, 청년, 사회초년생, 신혼부부 등 주거취약계층에게 시세보다 저렴한 임대료(60~80%)로 공급되는 공공임대주택입니다. 직장과 가까운 곳, 교통이 편리한 지역에 공급되며, 최대 10년까지 거주가 가능합니다. 2. 사회초년생의 정의사회초년생이란 대학교·대학원 졸업(중퇴 포함) 후 5년 이내이거나, 퇴직 후 1년 이내의 근로자를 .. 2025. 6.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