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이야기196 청년내일채움공제 만기, 중도해지 관련, 올해 달라진점 최신정리! 안녕하세요. 이전 포스팅에 이어서 청년내일채움공제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전 포스팅에는 가입 조건, 가입방법, 프로세스 등등에 대해 정리했는데요. 안보신 분들은 우선 아래 포스팅부터 보고 오시기 바랍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 가입조건, 방법 그럼 본격적으로 청년내일채움공제의 다음 이야기를 정리해보겠습니다. 마지막까지 보고 머릿속에 넣어놓는 것이 신청 후에도 별다른 문제없이 만기까지 유지할 수 있으실 거라 생각합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 만기 청년내일채움공제의 만기를 채우려면 2년이라는 시간이 흘러야 합니다. 2년이면 24개월이고, 달마다 1회씩 12.5만원씩 적립하면 됩니다. 12.5만원 * 24개월 이기에 최종 적립금은 300만원입니다. 적립일은 본인이 선택할 수 있습니다. 매달 5일, 10일, 15일, .. 2022. 1. 3. 청년내일채움공제 조건, 가입방법 최신정보 정리! 안녕하세요. 오늘은 중소기업에 근무하고 계신 청년분들이라면 꼭 보셔야 할 정보를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바로바로 "2022년 청년내일채움공제"(일명 청년내일채움공제)인데요. 가입신청이 오늘(1/3)부터 시작이라고 이미 아신 분들은 신청하신 분들도 있을텐데요. 올해 지원인원은 총 7만명이라 빠르게 종료될 수 있으니 본인이 신청 가능 대상이라면 얼른 신청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중소기업 재직 청년들이 오래오래 근무할 수 있는 환경과 목돈 마련을 할 수 있게 운영 되며, 근로자가 2년동안 적립금을 적립하면 만기 시에 1,200만원을 수령하게 되는 혜자 중의 혜자 정책이 아닐 수 없습니다. 그렇기에 가입 조건만 충족한다면 무조건 가입하는 것이 좋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좋은건 알겠는데 막상 가입조건이.. 2022. 1. 3. 근로장려금, 자녀장려금 2022년 지원 확대! 신청방법은? 안녕하세요 드디어 2022년 임인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2022년이 되면서 정책적으로 달라지는 부분이 많이 생겨나고 있는데요. 달라지는 부분에 대해서 가장 우리가 관심있는 부분은 '돈'과 관련된 정책이 아닐까 싶습니다. 특히 코로노19 팬데믹 사태로 인해 정말 힘들었던 2021년이 아니었나 하는 생각이 들게 되는데요. 모두가 힘들었겠지만, 특히나 저소득층 가구가 많이 힘들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크게 들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 더 특히나 힘들었던 분들에 대해 '돈'과 관련해서 대상 확대도 되고, 금액도 증가하는 정책이 있어서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바로 '근로.자녀장려금'에 대한 내용인데요. 같이 보시면서 해당되는 분들에 대해서는 올해부터 뭐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참고하셔서 미리 숙지 해놓으시면 좋겠습니다... 2022. 1. 2. 이전 1 ··· 58 59 60 61 62 63 64 ··· 66 다음